본문 바로가기
육아 이야기

아이와 물놀이 후 감기 안 걸리는 꿀

by 슈하네 육아 2025. 7. 16.

신나는 물놀이

여름이 되면 하루에 한 번은 꼭 물을 찾는 우리 아이들,
놀이터보다 수영장, 물놀이장이 더 신나는 계절이에요!

저희 아이들도 물만 보면 신나서 뛰어들기 바쁜데,
신나게 놀고 난 뒤엔 꼭 찾아오는 걱정 하나… 바로 감기예요 😥
물놀이 후에 기침이 나고, 콧물이 흐르고, 열이 오르면
엄마 마음은 또 무너지고 말죠.

그래서 오늘은
"아이와 물놀이 후 감기 안 걸리는 우리집만의 관리 루틴"
을 소개해보려 해요.

특별한 약도 아니고, 비싼 보조제도 아니에요.
그저 적절한 타이밍에 해주는 작은 습관들
우리 아이 건강을 지키는 데 정말 큰 역할을 하더라고요!

육아 중인 엄마라면 누구나 공감하실
물놀이 후 감기 예방 꿀팁 4가지,
지금부터 하나씩 공유해볼게요 😊

 

물놀이 후 바로 해야 할 첫 번째 루틴

물놀이가 끝나면 아이가 신나서 더 놀고 싶어 하지만,
**엄마는 그 순간부터 "감기 예방 미션 시작!"**이에요.

저희 집은 물놀이가 끝나자마자
항상 딱 세 가지 루틴을 바로 실행해요.

 

✔️ 첫째, 젖은 옷 바로 갈아입히기

젖은 수영복이나 옷은 체온을 빠르게 떨어뜨리기 때문에
타월로 물기를 닦고 바로 마른 옷으로 갈아입히는 게 중요해요.
특히 등과 배는 따뜻하게 감싸주면 좋아요.

 

✔️ 둘째, 따뜻한 물 마시기

놀다 보면 물도 잘 안 마시고, 몸은 계속 식어요.
체온을 안정시키기 위해 따뜻한 물이나 보리차
한두 모금이라도 꼭 마시게 해줘요.
아이 입장에서는 이게 좀 싫을 수 있지만,
"우리 ○○이 수영왕~ 건강왕!" 하고 유쾌하게 유도해보세요 😄

 

✔️ 셋째, 간단한 간식 또는 과일

놀고 나면 에너지가 떨어져서 감기 걸리기 쉬워요.
수분이 많은 과일 (예: 수박, 포도)이나
따뜻한 계란찜, 두부 같은 간단한 간식으로
몸도 속도 따뜻하게 만들어주세요.

 

물놀이하는 아이

아이 체온 떨어지기 전에 이것부터!

물놀이 후 아이가 “추워~” 라고 말하면,
이미 체온이 많이 떨어진 상태일 수 있어요.
감기나 냉방병을 막으려면 체온이 떨어지기 전에 바로 움직여야 해요!

저는 평소에 아래 세 가지를 신경 써요:

✔️ 따뜻한 물로 샤워하기

물놀이 후엔 찬물 샤워보다
미지근~따뜻한 물로 샤워해서
남아있는 찬 기운을 씻어주는 게 좋아요.
샤워 후에는 바로 타월로 감싸 체온 유지!

특히 머리까지 적셨다면
수건으로 꾹꾹 눌러 닦고
가능하면 드라이기로 완전히 말려주세요.
젖은 머리로 에어컨 바람 맞으면 감기 100%예요… 😢


✔️ 실내 온도 조절

에어컨이 켜진 실내로 들어간다면
아이 몸이 갑자기 식지 않도록 담요나 얇은 겉옷을 꼭 걸쳐주세요.
실내 온도는 24~26도 사이가 적당하고,
선풍기는 직접적으로 맞지 않게 회전 모드로 돌려주는 게 좋아요.


✔️ 따뜻한 수면환경 만들기

만약 물놀이 후 아이가 바로 낮잠을 자는 경우,
수건 대신 얇은 이불로 배와 등을 감싸고,
머리는 살짝 식게 해주는 게 좋더라고요.
체온을 조절하면서 감기 예방에도 효과적이에요.


물놀이 후 아이가 평소보다 말이 없고 축 처진다면?

평소엔 뛰어다니고 말도 많은 아이가
물놀이 후에 갑자기 조용해지고,
소파에 축 늘어져 있으면 엄마는 바로 불안해지죠.

“물놀이가 너무 힘들었던 걸까?”
“혹시 열 나는 건 아닐까?”
“감기 걸린 걸까? 탈수일 수도 있나?”

이럴 땐 아래 체크리스트를 살펴보면서
아이 상태를 한 번 확인해보세요.


✅ 확인해야 할 체크포인트

  • 체온: 37.5도 이상이면 미열, 38도 이상이면 고열
  • 입술, 혀 상태: 하얗거나 마르면 수분 부족
  • 기운 없음 + 식욕 저하 + 눈이 풀림 → 컨디션 주의
  • 갑작스런 졸음 → 열감 여부 확인 후 재워야 해요

👩‍⚕️ 대처 방법

  • 미지근한 물 마시게 하기
    탈수 우려가 있다면 수분 섭취 먼저!
    포도당 음료나 유아용 이온음료도 좋아요.
  • 체온이 올라가는 경우
    바로 해열제를 먹이기보다는
    10~20분 정도 상태를 지켜보며 체온 체크를 반복해보세요.
  • 아이가 한두 시간 자고도 여전히 무기력하다면
    늦지 않게 병원 진료를 받아보는 게 좋아요.
    특히 여름철엔 수족구, 장염, 냉방병 등 다양한 질환 가능성도 있거든요.

저도 아이가 한 번은 물놀이 후 열이 39도까지 올라서
밤새 냉찜질하고 결국 응급실 간 적이 있었어요.
그래서 요즘은 아이 컨디션이 조금이라도 이상하면
**“당장 병원은 아니더라도 준비는 하자”**는 마음으로 대처해요.

우리집 루틴 공개! 물놀이 후 이것만은 꼭해

저희 집은 물놀이를 자주 하는 편인데요,
그만큼 끝나고 나서 아이 컨디션을 지켜주는 루틴도 중요하게 여겨요.
하나하나 큰 건 아니지만,
이 작은 습관들이 감기 예방에 정말 효과가 있더라고요!


✔️ 물놀이가 끝나면 “따뜻하게 감싸기”

아이들 몸이 차가워지지 않도록
수건으로 꾹꾹 눌러 닦고
얇은 내의 + 반팔/반바지로 재빠르게 갈아입혀요.
특히 머리는 꼭 드라이기로 말려주고요!


✔️ “따뜻한 간식”으로 속까지 데워줘요

계란찜, 미역국, 보리차 같은 따뜻한 간식
아이에게 휴식과 회복을 함께 주는 고마운 루틴이에요.
땀 흘리고 놀다 보면 속이 비어 있어서,
감기보다 소화불량이나 설사가 먼저 오는 경우도 있었거든요.


✔️ “아이 상태 관찰”은 최소 3시간 이상!

물놀이 후 바로 컨디션이 떨어지지 않더라도
몇 시간 후부터 기침, 콧물, 열이 올라오는 경우도 있어요.
그래서 저는 물놀이 날은 최대한 에어컨도 꺼두고,
아이들 옆에서 상태를 유심히 살펴보는 편
이에요.


✔️ “재미있게 마무리!”

물놀이가 끝났다고 바로 단호하게 “이제 그만!” 하지 않고
“우리 ○○이 오늘 수영왕! 감기 안 걸리게 ○○ 루틴 하자~”
놀이처럼 루틴을 유도해요.
아이들도 웃으면서 협조해주니, 감기 예방 + 분위기도 훈훈하게 정리돼요 😊

 

 

사실 저희 가족도 최근에 근처 키즈 수영장에 다녀왔는데요,
예전엔 물놀이 후 아이가 자주 기침하고 열이 올라 걱정이 많았어요.

그런데 이번엔
물놀이 후 체온 관리 + 따뜻한 샤워 + 수분 보충 + 간식 루틴
이 글에서 소개한 그대로 해봤더니
정말 신기하게도 아이 컨디션이 무척 안정적이었어요!

무엇보다 아이가 “오늘 물놀이 너무 재밌었어!” 하며
잠들기까지 건강하게 마무리할 수 있어서
엄마로서 더할 나위 없이 뿌듯했답니다 😊

아이와의 즐거운 물놀이는
끝나고 나서의 작은 관리 습관이 감기 예방에 큰 도움이 돼요.

이 글이 여름철 물놀이 후 감기 예방을 고민하는
육아맘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,
더운 여름 건강하고 시원하게 보내세요!